https://mole7717.tistory.com/17?category=913997
LD 플레이어 TEST 채굴기에 대하여 (차단 방법, LD플레이어 공식 성명, 채굴앱 확인법)
※글을 끝까지 읽어주세요.LD 플레이어 국내에서 블루스택, 녹스와 함께 인지도 TOP3에 들어갈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LD 플레이어. 같은 Virtual Box 기반으로 만들어진 타 앱 플레이어와 비교해서 실
mole7717.tistory.com
LD 플레이어를 약 한 달간 사용하던 중 2020년 07월 10일 오늘 TEST를 발견했습니다.
그동안 LD 플레이어를 사용하던 중에 TEST 애플리케이션을 못 봐서 저번 계시 글에서는 그림판으로 그렸던 기억이 있지만 이번에는 진짜로 나타났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차단 방법이다라고 소개한 adb.exe 더미 방법과 설정 등을 저도 소개하면서 같이 설정을 했지만 TEST앱을 보니 내 컴퓨터로 채굴을 하고 있는 건지 그냥 뜨기만 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TEST앱이 뜨면서 렉이 엄청 심해져서 채굴되는 거 같은 의심이 듭니다. 일단 채굴 앱을 뜬 관계로 TEST앱을 발견 이후 제 컴퓨터에 잠입한 채굴기가 있는지 확인하고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혹시나 TEST 채굴기에 관련해 업데이트 내용이 있는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및 공식 카페에 가보았지만 별 다른 얘기가 없었습니다. 공식 카페에서는 버전 업데이트 내역 나오면 댓글로 TEST 채굴 안 고칠 거냐 라는 댓글만 존재하고 따로 답변이나 그런 건 없는 것 같습니다. 고칠 마음이 전혀 없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건은 오늘 랜덤다이스라는 게임을 하던 도중 이상하게 버벅거리면서 렉 현상이 일어나고, 홈으로 나가 졌다가 들어왔다가 나갔다 반복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처음에는 저의 인터넷 상태가 좋지 않은 건가 의심을 했지만 인터넷에 아무런 문제가 없어 다시 LD 플레이어를 보던 도중 LD 플레이어 상단에 TEST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TEST채굴기는 오후 5시30분 정도에 발견했습니다. LD 플레이어를 껐다 다시 켜서 1시간 정도 다시 게임 해본 결과 다시 TEST어플이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던 중 TEST 채굴기를 보면 컴퓨터에 채굴기가 깔릴 수도 있다는 정보를 봤습니다. 그래서 제 컴퓨터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일단 LD 플레이어를 하시면서 TEST어플를 발견하신 분들은 일단 LD 플레이어가 설치된 드라이브 내에 dzidzirk라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키보드에서 윈도우키 + R 을 눌러주시고 appdata - roaming 라고 쳐주시면 AppData 파일이 뜨게 됩니다.
AppData 파일 우측 상단을 보면 검색창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dzidzirk 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저는 다행히 없었습니다. 저번 계시글의 설정들이 도움이 된 건지 확실하게는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저번에 설정들을 해서 다행히 없다고 생각하면 그나마 위안이 조금 되긴 합니다.
dzidzirk 채굴을 당하시면 가끔씩 cmd창이 켜졌다가 1초 만에 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니 그런 것도 확인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dzidzirk 파일이 있다고 나오신 분들은 해결방법으로 최고 좋은 방법은 포맷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런데 포맷을 할 여유가 없으실 때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갖고 왔습니다.
일단 검색해서 나온 dzidzirk 파일 우측 클릭 후 폴더 위치 열기 클릭 안에 있는 파일들을 전부 삭제합니다.
Ctrl + Alt +Del 을 눌러 작업관리 자을 열어서 시작프로그램 탭으로 가셔서 window local network service 라는 파일이 있나 확인 후 있으시면 파일 위치 열기로 들어가셔서 bat 이라는 파일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시작 메뉴에 들어가서 돋보기 아이콘 클릭 후 작업 스케줄러에 라이브러리 맨 밑에 일정 시간에 시작하는 작업들 중 이름에 windows scan 라고 표시되어있는 작업이 있으면 삭제합니다.
다음 다시 윈도우키 + R 을 눌러주시고 roaming - windows 입력 후 안 들어가지면 정상입니다.
하지만 들어가진 다면 파일 안에 runrun.vbx, run.vbs, svchost.bat 3개의 파일이 있다면 삭제합니다.
추가적으로 나 LD 플레이어 사용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 방화벽을 설치하면 좋다고 해서 설치 과정도 가져왔습니다.
LD 플레이어를 실행하시고
플레이 스토어에 firewall root 라고 검색하셔서 설치를 합니다.
밑에 Apps탭으로 들어가시면 할 게임들과 구글 플레이는 체크해 두시고 LD스토어 및 Test는 두 번 클릭해 X 표시로 비활성화하시면 됩니다. Launcher3 어플이 있으시면 LD스토어와 같이 X 체크하시면 됩니다.
Global탭에 들어가서 Pre-Filters, Post-Filters 두 곳에 두 개 만들어주시고 X체크하시면 됩니다.
Address *
port 5555, 3333
홈으로 돌아가서 START 눌러서 사용하면 됩니다. LD 플레이어를 켜실 때마다 눌러 주셔야 합니다. 방화벽이 잘 작동되고 있으면 오른쪽 상단에 열쇠 모양의 아이콘이 보입니다.
습관적으로 LD 플레이어를 들어가게 돼서 사용하지만, 이렇게 고생했는데 또다시 문제가 발생하면 LD 플레이어 삭제 후 다른 모바일 플레이어로 갈아타겠습니다. 게임 한번 하려고 준비과정부터 너무 길어서 기운이 쭉쭉 빠집니다. 이 과정이 귀찮으신 분들은 갈아타시는 게 좋겠습니다. LD 플레이어에서 꼭 좀 고쳐주면 좋겠는데 말입니다.
다들 즐거운 게임 하시고 밤이 늦어 이만 들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바일 게임 > 앱플레이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븐나이츠2 블루스택, 녹스, LD플레이어 비교 (CPU, 프레임테스트) (0) | 2020.11.22 |
---|---|
모바일게임을 PC로~~ LD 플레이어 4.0 설치, 최적화 (0) | 2020.08.06 |
모바일 게임을 PC로 즐기자 메인보드 별 VT 활성화에 대하여 (0) | 2020.08.06 |
모바일 게임 플레이어 녹스 (설치방법과 최적화) (0) | 2020.08.06 |
LD 플레이어 TEST 채굴기에 대하여 (차단 방법, LD플레이어 공식 성명, 채굴앱 확인법) (0) | 202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