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국내 모바일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1인 1 휴대폰이라 PC게임, 콘솔게임에 비해 시장의 크기가 어마어마합니다. 그것이 증명하듯 모바일 게임 시장의 대장이라 할 수 있는 엔씨소프트의 주가는 어느덧 90만 원이 넘어 100만 원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에서는 PC게임이었던, 리니지 IP 기반으로 리니지 레볼루션, 리니지 M, 리니지2M 등 으로 계속 되는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리니지M 이 나오기 전에는 설마 사람들이 얼마나 하겠어라는 생각을 부수고, 오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높은 과금의 커트라인을 두고 혈맹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과 닉네임 하나에 얼마에 거래됐다고 하더라부터 엄청나게 열띈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도 리니지 M의 매출은 플레이 스토어에서 1등이며, 리니지 하나로 엄청난 부를 쓸어 담고 있는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를 볼 때마다 샀어야 했는데 하며 매일 후회하지만, 이제는 사기엔 겁이 날 정도로 가파르게 올라갔습니다.
새가슴인 저는 이래서 돈을 못 버나 봅니다. 야수의 심장을 가진 형님들 대단하십니다.
리니지의 고공 행진에 계속해서 예전의 PC게임들의 IP를 활용하여 모바일 게임으로 나와주는 모습에 시간에 쫓겨 모바일 게임만 하시는 유저분들에 선택의 폭이 점점 더 넓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많이 했던 바람의 나라도 이제 오픈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아직 사전예약 중으로 관심이 있는 분들은 예약하시면 됩니다. 사전등록을 하면 탑승 환수 귀여운 다람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게임에 큰 단점이 있었으니, 모바일 게임 30분에서 1시간 정도 하게 되면 휴대폰 발열 현상이나 100만 원을 할부해서 주고산 휴대폰의 수명이 깎이는 기분도 들고, 여름에는 발열현상으로 휴대폰이 너무 뜨거워져 게임하기 버거워하시는 분들이 PC로 모바일 게임 플레이어를 많이 설치해서 즐기고 계십니다. 참고로 저는 모바일 게임 한창 할 때에 얼음팩을 밑에 깔고 게임을 즐겼습니다.
모바일 게임 시장이 커진 만큼 다양한 모바일 게임 플레이어들이 있으며, 플레이어마다 성능 차이를 느껴 다른 플레이어로 갈아타시기도 합니다.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블루스택, 녹스, LD 플레이어, 지니 모션 등 많은 모바일 게임 플레이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 알아볼 LD 플레이어입니다. 타 플레이어들 비해 에뮬레이터가 가볍고, 게임 패드로 통해 게임이 가능하다 점이 있습니다. (지원이 가능한 다른 플레이어도 있을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해보면서 저의 PC의 사양이 높지 않은데도 다른 PC게임과 돌리면서도 크게 무리되는 점이 없어 아주 좋게 썼습니다.
얼마 전 LD 플레이어 4.0 버전에서 리니지 M 최적화 패치를 하면서, 리니지 M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희소식이 있었습니다.
예전과 얼마나 차이가 있을진 모르겠지만, 그래도 많은 유저들이 즐기는 게임인 만큼 희소식은 희소식이네요.
LD 플레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하시는 분들은 오른쪽 위에 상단에 보시면
빨간 동그라미를 누른 뒤에 업데이트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제 아예 없으신 분들은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LD 플레이어 홈페이지 링크 https://kr.ldplayer.net/
3.0과 4.0 버전이 있는데, 안드로이드의 버전 차이라고만 써져 있습니다. 유저분들의 후기로는 3.0이 안정성이 높고, 4.0이 속도가 더 빠르다는 얘기가 있었는데 추후 기회가 되면, 차이점 실험을 해보겠습니다.
SSD가 있으신 분들은 설치경로를 SSD 쪽으로 설치해주는 게 좋다고 합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에 구글 계정 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
'플레이 스토어'를 누르시면 로그인 창이 뜨며, 가지고 계시던 구글 계정을 로그인하셔야 키워 놓으셨던 게임 계정을 이어서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로그인 후 구글 서비스 드라이브를 백업할지 말지 동의서가 나오는데, 동의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설정' 클릭 후 쭉 내려가셔서 '태블릿 정보'를 클릭
그리고 쭉 내려서 '빌드 번호'를 5번 클릭해주면 개발자가 되었다는 문구가 나옵니다.
다시 뒤로 돌아가서 '태블릿 정보' 위에 '개발자옵션'을 'GPU 렌더링 강제 설정' 클릭하여 오른쪽 끝에 초록불이 나오도록 합니다.
그다음으로 설정해주셔야 하는 것은 해상도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해상도는 각자의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확인해 보시고 설정하기 바랍니다.
맨 오른쪽 상단에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누르시고 각자의 맞는 해상도를 쓰면 됩니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에 출력이 돼야 하는 양이 많아지면서 사양이 많이 먹게 되고, 해상도가 낮을수록 그 반대로 됩니다. 해상도는 아무래도 자신의 눈에 편한 상태가 가장 좋습니다. 너무 낮춰도 찌그러지는 그래픽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게임마다 사람들이 추천하는 해상도가 있습니다. 게임 카페에서 사람들이 추천하는 해상도를 하시길 바랍니다.
밑에 있는 CPU와 메모리는 웬만하면 권장으로 사용합니다. 렉이 심할 때는 메모리를 최대한 올리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게임을 하시면서, 키보드 Ctrl + Shift + Del 키를 한 번에 눌러 작업 관리자에 성능에 들어가시면 지금 컴퓨터가 무리를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U와 메모리의 사용량이 80% ~ 90%쯤 되면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시거나 폰으로만 즐기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래도 렉 걸리시는 분들은 '게임 설정'에 '고프레임 모드'를 설정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게임 중에 튕기시거나 하면 다시 끄시면 됩니다. 밑에 게임 목록이 쓰여있지만 다른 게임 하시는 분들도 많이들 키고 하십니다.
참고로 고프레임 모드 누르시면 나오지만 고프레임 모드 키고 멀티로 몇 계정씩 돌리시면서 하시면 컴퓨터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장을 누르시고 재부팅 후에 하고 싶은 게임 플레이 스토어 가셔서 설치 후 게임을 즐기시면 됩니다.
컴퓨터로 모바일 게임을 많이 즐기시는 분들은 VT활성화를 하셔야 합니다. VT활성화를 한 것과 안 한 것 차이는 엄청 많이 차이가 납니다.
VT활성화에 대한 게시글은 빠른 시일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 게임 > 앱플레이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븐나이츠2 블루스택, 녹스, LD플레이어 비교 (CPU, 프레임테스트) (0) | 2020.11.22 |
---|---|
모바일 게임을 PC로 즐기자 메인보드 별 VT 활성화에 대하여 (0) | 2020.08.06 |
모바일 게임 플레이어 녹스 (설치방법과 최적화) (0) | 2020.08.06 |
LD 플레이어 TEST 채굴기에 대하여 (차단 방법, LD플레이어 공식 성명, 채굴앱 확인법) (0) | 2020.08.06 |
LD플레이어 TEST 채굴기 발견시 대처방법 (0) | 2020.08.06 |